‘파스모포비아(Phasmophobia)’는 최근 공포 게임 장르에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협동 추리 게임입니다. 이 게임은 플레이어들이 유령을 추적하고, 그 유령의 특성을 파악하여 어떤 종류의 유령인지 밝혀내는 것이 주요 목표입니다.
게임 내에는 다양한 유령이 존재하며, 각 유령은 독특한 특성과 약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파스모포비아의 유령들을 종류별로 정리하고, 각 유령의 이동 속도, 증거, 약점, 기술 등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유령의 종류와 특징
파스모포비아에는 총 24종의 유령이 있으며, 각 유령은 서로 다른 능력과 행동 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령들을 이해하는 것은 게임을 더 쉽게 클리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아래 표는 유령의 기본적인 정보를 요약한 것입니다.
유령 이름 | 이동 속도 | 증거 | 약점 | 기술 |
---|---|---|---|---|
스피릿(Spirit) | 보통 | EMF, 주파수, 고스트 라이팅 | 정화 향초에 맞으면 180초 동안 사냥 불가 | 없음 |
레이스(Wraith) | 보통 | EMF, 주파수, 도트 프로젝터 | 소금을 밟지 않음 | 임의의 플레이어 근처로 순간이동 |
팬텀(Phantom) | 보통 | 주파수, 손자국, 도트 프로젝터 | 사진 촬영 시 모습 사라짐 | EMF 2단계 남김 |
폴터가이스트(Poltergeist) | 보통 | 주파수, 손자국, 고스트 라이팅 | 물건을 멀리 던짐 | 상호작용 없이도 던지기 기술 |
밴시(Banshee) | 보통 | 손자국, 고스트 오브, 도트 프로젝터 | 타깃이 아니면 공격 불가 | 한 타깃만 공격하며 주변을 배회 |
진(Jinn) | 보통 (발견 시 빠름) | EMF 5단계, 손자국, 서늘함 | 건물의 전원 차단 불가 | 정신력 감소 및 EMF 2단계 발생 |
메어(Mare) | 보통 | 주파수, 고스트 오브, 고스트 라이팅 | 실내 전등 절대 켜지 않음 | 팀원의 정신력 감소 |
레버넌트(Revenant) | 매우 느림 | 고스트 오브, 고스트 라이팅, 서늘함 | 발소리 간격이 김 | 타깃 발견 시 이동속도 90% 증가 |
셰이드(Shade) | 보통 | EMF 5단계, 고스트 라이팅, 서늘함 | 같은 공간에 사람이 있으면 사냥 불가 | 없음 |
데몬(Demon) | 보통 | 손자국, 고스트 라이팅, 서늘함 | 십자가 적용 범위가 넓음 | 타깃에게 접근하여 20초 동안 응시 |
유레이(Yurei) | 보통 | 고스트 오브, 서늘함, 도트 프로젝터 | 방 문을 닫음 | 정신력 감소 능력 |
오니(Oni) | 보통 | EMF 5단계, 서늘함, 도트 프로젝터 | 이벤트 시 실체화만 함 | 방 안에 플레이어가 있으면 활동력 증가 |
한투(Hantu) | 온도에 따라 다름 | 손자국, 고스트 오브, 서늘함 | 퓨즈를 끌 수 없음 | 온도 낮을수록 속도 증가 |
요괴(Yokai) | 보통 | 주파수, 오브, 도트 프로젝터 | 무전기 소리 듣지 못함 | 주변 목소리 사냥 임계점 상승 |
고료(Goryo) | 보통 | EMF, 손자국, 도트 프로젝터 | 유령방 변경 불가 | 유령방에 사람이 없을 때 도트 확인 가능 |
마일링(Myling) | 보통 | EMF, 손자국, 고스트 라이팅 | 사냥 시 발소리 작음 | 조용히 타깃 기습 가능 |
원령(Onryo) | 보통 | 주파수 측정기, 오브, 서늘함 | 촛불 세 개 꺼지면 사냥 시작 | 양초의 불 끄기 시 사냥 가능 |
트윈스(The Twins) | 본체 느림/분신 빠름 | EMF, 주파수 측정기, 서늘함 |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호작용 | 본체와 분신 중 50% 확률로 사냥 시작 |
라이주(Raiju) | 보통 (전자기기 근처 빠름) | EMF 5단계, 고스트 오브, 도트 | 전자기기 주변 발소리 변화 | 전자기기 고장 범위 5m |
오바케(Obake) | 보통 | EMF 5단계, 손자국, 고스트 오브 | 손가락이 6개인 손자국 남김 | 손자국 남는 시간 짧아짐 |
미믹(Mimic) | 랜덤 | 주파수 측정기, 손자국, 서늘함 | 추가 증거로 고스트 오브 | 유령 특징 모방 |
모로이(Moroi) | 보통 (정신력 낮을수록 빨라짐) | 주파수 측정기, 라이팅, 서늘함 | 정화 향초 스턴 시간 12초 | 저주 내림 및 정신력 감소 속도 증가 |
데오겐(Deogen) | 매우 빠름 (플레이어 근처 느림) | 주파수, 고스트 라이팅, 도트 | 사냥 시 회피 쉬움 | 플레이어가 숨지 못함 |
타예(Thaye) | 매우 빠름 (시간 흐를수록 느려짐) | 오브, 고스트 라이팅, 도트 | 점차 노화 진행 | 초반부터 사냥 가능성 높음 |
각 유령의 특성을 이해하면, 플레이어는 유령의 행동 패턴을 예측하고, 그에 맞게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다음 섹션에서는 각 유령의 세부적인 특성과 관련된 정보를 더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유령의 세부 특성
각 유령은 고유의 세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게임의 진행 방식에 큰 영향을 줍니다. 유령의 이동 속도, 증거의 종류, 약점, 그리고 기술은 유령을 특정하고 생존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아래 표는 몇 가지 주요 유령의 세부 특성을 정리한 것입니다.
유령 이름 | 특성 설명 |
---|---|
스피릿(Spirit) | 이동 속도가 보통이며, EMF, 주파수, 고스트 라이팅을 증거로 남깁니다. 정화 향초에 맞으면 사냥할 수 없는 시간이 180초로, 다른 유령들과 차별화됩니다. |
레이스(Wraith) | 이동 시 속도가 보통이며, EMF, 주파수, 도트 프로젝터가 증거로 남습니다. 소금을 밟지 않으며, 순간이동 기술을 사용하여 타겟에게 근접할 수 있습니다. |
팬텀(Phantom) | 보통의 이동 속도를 가지고 있으며, 주파수, 손자국, 도트 프로젝터가 증거로 남습니다. 사진을 찍으면 모습을 사라지게 만들 수 있습니다. |
폴터가이스트(Poltergeist) | 보통의 이동 속도를 가지며, 주파수, 손자국, 고스트 라이팅이 증거로 남습니다. 물건을 멀리 던져서 플레이어의 정신력을 낮춥니다. |
밴시(Banshee) | 보통의 이동 속도를 가지고 있으며, 손자국, 고스트 오브, 도트 프로젝터가 증거로 남습니다. 특정 타겟을 정해두고 공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플레이어는 각 유령의 약점을 활용하여 더 안전하게 생존할 수 있습니다. 각 유령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장비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다음 섹션에서는 유령의 약점 및 공략 방법에 대해 자세히 다루어 보겠습니다.
유령의 약점 및 공략 방법
유령의 약점을 파악하는 것은 게임에서 생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각 유령마다 특정한 약점이 있으며, 이를 활용하면 유령의 공격을 피하고, 더 효과적으로 유령을 특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 표는 몇 가지 유령의 약점과 그에 따른 공략 방법을 정리한 것입니다.
유령 이름 | 약점 | 공략 방법 |
---|---|---|
스피릿(Spirit) | 정화 향초에 직접 맞으면 사냥 불가 | 정화 향초를 사용하여 스피릿의 사냥을 방지하고, 증거를 찾아 유령의 종류를 특정합니다. |
레이스(Wraith) | 소금을 밟지 않음 | 소금을 사용하여 레이스의 접근을 막고, EMF 탐지기를 통해 증거를 찾습니다. |
팬텀(Phantom) | 사진 촬영 시 모습 사라짐 | 팬텀의 모습을 촬영하여 사라지게 만든 후, 다른 증거를 찾아 유령을 특정합니다. |
폴터가이스트(Poltergeist) | 물건을 멀리 던짐 | 주변 물체의 개수를 조절하여 폴터가이스트의 활동성을 줄이고, 증거를 찾아냅니다. |
밴시(Banshee) | 타깃이 아니면 공격 불가 | 팀원 중 한 명을 타겟으로 설정하고, 그를 보호하며 유령의 행동을 관찰합니다. |
이처럼 각 유령의 약점을 잘 활용하면, 생존 확률을 높이고 유령을 더 효과적으로 특정할 수 있습니다. 게임을 진행하면서 유령의 행동과 패턴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적절한 장비와 전략을 사용하여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다음 섹션에서는 유령의 행동 패턴과 그에 따른 대처 방법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유령의 행동 패턴 및 대처 방법
유령의 행동 패턴을 이해하는 것은 생존에 필수적입니다. 유령들은 특정한 행동을 반복하며, 이러한 행동을 파악하면 유령의 등장과 공격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유령의 행동 패턴을 아래 표로 정리하였습니다.
유령 이름 | 행동 패턴 설명 |
---|---|
스피릿(Spirit) | 특이한 행동 없이 일반적인 유령처럼 움직이며, 특정 장소에서 자주 출현합니다. |
레이스(Wraith) | 순간이동을 사용하여 플레이어 근처로 접근하며, 사냥 중에는 순간이동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
팬텀(Phantom) | 종종 플레이어 옆에서 EMF 2단계를 남기며, 사냥 시에는 짧은 주기로 깜빡입니다. |
폴터가이스트(Poltergeist) | 물체를 던지는 행동을 자주 하며, 물체가 많을수록 공격 빈도가 높아집니다. |
밴시(Banshee) | 특정 타겟을 정해두고 그 근처를 배회하며 공격합니다. 팀원 간의 소통이 필요합니다. |
이러한 행동 패턴을 파악한 후, 각 유령에 맞는 대처 방법을 세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스피릿의 경우에는 정화 향초를 사용하여 안전한 구역을 확보하고, 레이스의 경우에는 소금을 활용하여 접근을 막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다음 섹션에서는 유령의 정보와 관련하여 유용한 팁을 제공하겠습니다.
유용한 팁 및 전략
유령을 추적하고 특정하는 과정에서 유용한 팁과 전략은 게임의 재미를 더할 수 있습니다. 아래 표는 유용한 팁과 그에 따른 전략을 정리한 것입니다.
팁 | 설명 |
---|---|
팀워크 강조 | 게임 내에서 팀원 간의 소통과 협력이 필요합니다. 서로의 위치와 유령의 행동을 공유하세요. |
장비 활용 | 각 유령의 특성에 맞는 장비를 준비하고 활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증거 기록 | 저널을 통해 찾은 증거를 기록하여 유령을 특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안전한 구역 확보 | 유령의 사냥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정화 향초 또는 소금을 활용하여 안전한 구역을 만드세요. |
유령의 이름 부르기 | 유령의 이름을 부르면 공격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이 점을 활용하여 유령의 반응을 유도하세요. |
이러한 팁을 통해 플레이어는 유령을 더욱 효과적으로 추적하고, 생존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게임을 진행하면서 유령의 행동을 관찰하고, 적절한 전략을 세워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결론
파스모포비아는 다양한 유령의 특성과 행동 패턴을 알아보고, 이를 활용하여 생존하며 임무를 수행하는 게임입니다. 각 유령의 약점과 행동 패턴을 파악하면, 보다 안전하게 유령을 특정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유령의 특징을 총정리하여 게임을 보다 쉽게 즐길 수 있도록 도와드렸습니다. 앞으로도 게임 내 업데이트가 이루어질 것이므로, 플레이어는 지속적으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더 나은 경험을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